반응형

전체 글 23

[SAP MM] 기준정보(Master Data)란 무엇일까?

1. 기준정보 (Master Data)란? 기준정보란 기업의 업무(비즈니스) 프로세스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및 설명을 의미한다. ERP의 각 모듈(FI,CO,SD,PP,MM 등)은 각기 고유의 기준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해당 기준정보는 비즈니스의 모든 부문에서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는 특징이 있다. 보통 비즈니스상기준정보의 정의 및 관리는 현업에서 주관하며, IT부서는 기술적 측면에서의 관리 및 유지보수를 담당한다. 기준정보는 품번, 공급업체, 단가 등 보안에 유의가 필요한 항목들이 많으며, 비즈니스상 중복 및 잘못된 형식이 데이터가 발생하지 않도록 유일하고 표준화를 따라야 하는 성격을 지니고 있다. 2. 구매관리(MM)에서의 기준정보란? MM에서의 주요한 기준정보는 크게 자재 마스터, 공급업체마스터, 구매..

SAP/MM모듈 2024.02.05

[Legacy/ERP(MM)] 구매시스템이란 무엇일까?

※ 보완 및 수정이 필요한 내용이 있을시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구매시스템이란 회사에서 필요한 자재/물품/용역/공사들을 구매 및 계약하는데 사용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비교적 규모가 있는 기업들의 경우 ERP(SAP)로 회사 기간 시스템을 구축하여 MM모듈에서 업무를 수행할 것이다. 다만, 의례 그렇듯이 SAP로 모든 시스템을 대체하여 사용할 수 없기에 Legacy(WEB)시스템 또한 병용해서 사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구매시스템을 설명할 내용은 매우 많지만 금번 포스팅에서는 구매시스템을 나누는 기준과 구매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업무에 대해 간단히 소개하고자 한다. 🔖1. 구매시스템을 나누는 기준 구매시스템은 다양한 기준으로 나누어 구축할 수 있다. 아래에는 세 가지 예시를 작성하였다. 1.1 생산..

[IT기획] 인터페이스 정의서/설계서란 무엇일까?

🔖1. 인터페이스(Interface)란 무엇일까? 인터페이스라는 단어를 구글에 검색해 보면 아래와 같이 접속이나 접촉 혹은 연결하는 의미임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세번째 뜻에 답을 알 수 있는데, 기업의 IT업무에서 인터페이스는 서로 다른 시스템간의 연결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HR(인사) 시스템에서 가지고 있는 인사/조직 정보를 품질시스템에서 받아서 활용하고자 할 때 이러한 행위를 '인터페이스'라고 정의할 수 있다. 즉, IT기획자의 입장에서 보면 데이터의 송신과 수신을 의미하는 단어라고 이해할 수 있다. 이해를 돕기 위해 일상의 예시를 하나 더 들어보자면 웹 사이트에 접속해 상품을 구매하거나, 스마트폰에서 증권사 어플을 다운받아 거래를 할 때, 매장에서 키오스크로 상품을 준물할 때 등 "UI가 좋아..

원가회계-01- 원가의 분류 및 구성

🔖1. 원가의 정의 원가와 비용은 혼동하기 쉬운 개념이다. 그러나 원가와 비용은 목적을 통해 구분할 수 있다. 1.1 원가 제품의 제조/생산/판매, 용역의 제공 등 위하여 소비된 유형 및 무형의 경제적 가치가 있는 재화의 소비액 1.2 비용 기업의 정상적인 경영을 위해 필요적으로 소비하는 것 🔖2. 원가의 조건 원가는 아래 네가지 조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2.1 경제적 가치에 소비된 것이어야 한다. 원가는 유형 혹은 무형의 재화나 용역의을 위해 소비되며, 화폐적 가치가 있어야 한다. 2.2 반대급부를 수반한 것이어야 한다. 원가는 경제적 가치에 의해 소비된 후 제품의 제조/생산/판매, 용역의 제공 등의 산출된 무언가가 있어야 한다. 2.3 경영과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것이어야 한다. 원가는 제품의 제조/생..

[IT기획 용어] 데브옵스(DevOps)란 무엇일까? (feat. 애자일 방법론)

🔖 1. DevOps / Devops 엔지니어란? 데브옵스는 개발(Development)와 운영(Operations)의 합성어로, 서비스를 만드는 개발조직과 만들어진 서비스를 고객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운영조직간의 소통과 협업을 통합하는 업무 방식을 의미한다. IT회사에서 고객에게 서비스(제품)를 최대한 빠르게 납품하는데 초점을 맞춘 방식으로, 개발조직과 운영조직이 설계부터 개발, 배포, 유지보수까지 긴밀히 협력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때, 개발조직과 운영조직 사이에서 의견을 조율하고 협력을 꾀하는 업무를 하는 사람을 데브옵스 엔지니어(DevOps Engineer)라고 부른다. ※ 애자일 방법론이 도입되며 데브옵스 또한 필요해졌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제품에 대해서도 두 조직의 입장은 다소 다르..

LG그램에서 삼성노트 설치하고 동기화하는 방법

삼성에서 제조한 노트북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경우 Microsoft Store에서 삼성노트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타 사 노트북의 경우 Microsoft Store에서 삼성노트 어플리케이션 설치가 불가합니다. 사용자들을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모두 갤럭시 환경으로 유도하려고 하는 삼성의 전략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삼성 外 타사 노트북에서도 삼성노트 설치가 가능합니다. 저 또한 LG그램 노트북에서 삼성노트를 설치하여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아래 방법을 따라서 삼성노트를 설치하고, 스마트폰/갤럭시탭의 삼성노트 어플과 동기화 하는 방법을 함께 알아보시죠. 🔖 - 삼성노트 설치하기 - ※ 삼성노트 설치법은 아래 사진의 주소에서 차용하였습니다. 0. 삼성노트 설치방법 원문 ..

IT프로젝트 용어 (단위테스트, 통합테스트, 안정화, 검수)

1. 단위테스트 (Unit Test) 개발한 프로그램에 대해 기능 기반으로 단위를 구분하여 테스트를 진행한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기능을 사용하는 고객사의 현업 담당자와 함께 데이터를 흘려보며 정상적으로 기능이 작동하는지 확인한다. 2. 통합테스트 (Integration Test) 단위 테스트가 완료돠면 개발된 프로그램을 하나로 모아 합쳐서 테스트 하는 것을 의미한다. 데이터를 흘려보며 개발된 프로그램들이 일련의 과정에서 정상적으로 작동되는지 확인한다. 3. 안정화 (Stabilization) 테스트를 마친 후 시스템을 오픈 한 후에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잘 운영되는지 모니터링 하면서 문제 발생에 대해 빠른 대응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짧게는 몇 주에서 1~2달 수행하기도 한다. 통상 시스템 오픈 후 2달 ..

IT프로젝트 사업 및 기획 용어 (RFI/RFP/RFQ)

IT프로젝트를 기획하는 업무를 할 때 자주 접하게 될 용어이다. 주로 고객사에서 IT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사업을 발주하여 입찰과정을 진행할 때 작성한다. 기본적인 의미는 아래와 같으나, 회사마다 생략하거나 작성주체 및 내용 등이 조금씩 차이가 존재한다. 1. 자료요청서 (RFI, Request For Information) 사업을 최초 기획할 때, 주위의 공급업체(수행사)들에게 계획중인 과업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들에 대해 알리며 시장동향, 필요 기술 및 요건 등 사업 발주를 위한 정보들을 사전에 요청하는 문서를 의미한다. 해당 내용을 참고하여 RFP가 작성되므로 RFI를 적극적으로 작성하여 제출한 업체와 향후 계약을 할 가능성이 높으며 우선협상대상으로 지정되기도 한다. ※ 필자의 회사의 경우 RFI를 따로..

IT프로젝트 용어 (개비/고도화/차세대)

1. 개비 (改備) 사전적의미 : 있던 것을 없에고 다시 사거나 만들어서 갖춤 → 기존 시스템은 유지하고 구조 및 기능 개선의 범위가 작을 때 ex) 우아한형제들, 결제 시스템 개비 / 코오롱그룹, 그룹차원 PI추진하여 오라클 → SAP로 개비 작업 진행 2. 고도화 (Advancement) 사전적 의미 : 정도가 높아지는 것 → 기존 시스템을 유지하지만 구조 및 기능 개선의 범위가 클 때 ex) 유진투자증권, 비대면 디지털 전환 위해 IT인프라 고도화 / LGU+, 맘스터치 매장에 IT인프라 고도화 지원 3. 리뉴얼 (Renwal) 사전적 의미 : 기존의 것을 새롭게 함. → 기존 시스템을 바꾸는것으로 구조 및 기능 개선의 범위가 작을 때 ex) 투비소프트, 홈페이지 리뉴얼 오픈 / 현대자동차, 대표 ..

반응형